United Arab Emirates (아랍에미리트)--종교-이슬람교76%;기독교12.6% 힌두교6.6%;-1971 12월 영국으로부터 독립 > middleeast 중동

본문 바로가기

middleeast 중동

United Arab Emirates (아랍에미리트)--종교-이슬람교76%;기독교12.6% 힌두교6.6%;-1971 12월 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canada
댓글 0건 조회 450회 작성일 23-01-17 16:23

본문

United Arab Emirates (아랍에미리트)--종교-이슬람교76%;기독교12.6% 힌두교6.6%;-1971 12월 영국으로부터 독립
아랍에미리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ttps://ko.wikipedia.org › wiki › 아...
·
Translate this page
아랍에미리트는 사우디아라비아, 오만과 육상 국경을 접하며, 카타르, 이란과 해상 국경을 접하고 있다. 2013년 아랍에미리트의 인구는 약 920만 명이었는데, 이들 중 140 ...
국가: 나의 조국은 오래 존속되리 0:49
최대 도시: 두바이 북위 25° 15′ 00″ 동경 55° ...
인구 밀도: 99명/km2‎ (‎11위‎)‎
종교: 이슬람교 76%; 기독교 12.6%; 힌두교 6.6%; ...


한편 영국과 아랍 셰흐들 간의 조약은 1971년 12월에 만료되었고, 아랍인들은 그해 12월 2일에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1971년 12월 2일에 6명의 토후국들이 모여 새 국가의 이름을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로 하기로 결정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랍에미리트의 역사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슬람 정착 이전 현재의 아랍에미리트 지역에는 아랍족들이 부족을 구성하며 살고 있었다.

무함마드의 후계자인 칼리프가 지배할 때 이슬람이 이 지역에 실히 정착되었으나 페르시아 만 건너 이란의 영향으로 시아파가 침투하였다. 16세기에 포르투갈이 지배했으나 17세기에 영국이 포르투갈을 몰아내고 점차 이 지역을 보호령화시켰다. 그러나 번영국은 오직 자신을 제외한 외세 세력들이 아랍에미리트에 관여하지 못하게만 하는데에 그쳤고, 토후국 끼리의 내정에는 거의 간섭하지 않았기에 토후들은 모두 국내 지배를 자유로이 할 수 있었다.

영국 지배
18세기까지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활동하던 해적들이 유럽 국가의 선박들을 자주 습격했기 때문에 해적 해안(海賊 海岸, Pirate Coast)이라고 불렀다. 이 지역의 토후들과 해적들이 하도 영국의 상선을 약탈하는 일이 잦자, 참다 못한 영국이 군대를 파견하였으며 토후국들은 '서양의 상선을 영구적으로 공격하지 않는다'라는 각서를 쓰고 영국의 보호령으로 들어갔다. 1820년 1월 8일 영국과 아라비아 반도의 셰흐들 사이에 체결된 해상 조약에 따라 휴전 오만이 수립되었고 1853년에는 영국과의 항구적인 해상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1] 원래 영국은 사막과 모래뿐이었던 당시의 아랍에미리트 지방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후 아랍 지역에서 석유와 유전이 대규모로 발견되자 이의 중요성을 인지한 영국은 이를 대대적으로 탐사하여 막대한 부를 끌어가려 하였다. 허나 1966년에 이르자 영국도 세가 기울어 더이상 효과적으로 아랍 지역을 통치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자인하게 되었으며, 영국군도 아랍 현지 반발 세력들을 제압하기에는 너무나 넓게 펴져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1968년에는 해럴드 윌슨 총리가 아랍 지역을 점차 독립시키겠다는 정부의 입장을 발표했고, 1971년에 에드워드 히스 총리가 이를 재확인하였다. 다만 이같은 결정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후, 영국의 보호 아래 권력을 누리고 있던 아부다비의 유력자들은 영국의 결정을 번복하려 시도하였으나, 노동당이 권력을 잡고 있던 영국은 이를 거부하였다.[2] 이후 영국이 최종적으로 아랍 지역에서 철수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아랍 지역의 9명의 토후들은 서로 모여 연합체를 구성하려 하였으나, 내부간의 불화 때문에 제대로 결정한 것이 없었다. 이 때문에 영국군이 그해 12월에 철수한다고 하는 통보가 왔음에도 아랍 현지에서는 제대로 된 정부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독립의 날이 점차 가까워지자, 아랍 지역 내부에서도 무정부 상태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었다. 게다가 이란의 무장 집단이 걸프 만 하구에 상륙, 섬을 강탈하고 현지인들을 쫓아내는 일을 벌였는데, 영국군도 이를 그저 지켜만 보고 있으며 혼란은 더욱 가중되었다. 이 집단들은 아부 무사 섬에도 접근하였으나,[3] 그 곳의 토후가 이란과 빠른 협상을 벌여 1년에 3백만 달러를 내고 임차해주기로 결정하며 혼란이 일단락되었다. 그와중에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부다비의 수로 사용권을 요구하였다.

본디 바레인과 카타르는 아랍에미리트에 포함되어 독립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바레인은 1971년 8월에, 카타르는 9월에 독립하며 아랍에미리트와는 다른 독자노선을 갔다. 한편 영국과 아랍 셰흐들 간의 조약은 1971년 12월에 만료되었고, 아랍인들은 그해 12월 2일에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1971년 12월 2일에 6명의 토후국들이 모여 새 국가의 이름을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로 하기로 결정하였다. 1972년에는 7명의 토후들이 임명한 40명의 위원들로 구성된 연방국가위원회가 창설되었고 1971년 12월 6일에 아랍 연맹에, 12월 9일에는 국제연합에 가입하였다.[4] 아랍에미리트는 걸프 협력회의의 창립국으로 참여하였으며, 아부다비에서 첫 회의를 개최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하였다.

19세의 아부다비 소년이었던 '압둘라 모하메드 알 마이나'가 1971년에 공식적인 아랍에미리트 국기를 제작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국기는 아랍의 상징색인 붉은색, 검은색, 초록색, 흰색이 담겼으며, 다른 토후국들이 연합하여 미래를 위해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1971년 12월 2일에 공식 채택되었으며, 알 마이나는 후에 체코에 아랍에미리트 대사로 파견되었다.

독립 이후
아랍에미리트는 2001년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준동하는 탈레반, 2003년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과 맞서기 위하여 미국과 군사적 동맹을 맺었고, 막대한 무기를 수입하며 군사력을 증강시켰다. 또한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일어나는 테러와의 전쟁에도 참가하기도 하였다. 1994년에는 미국과 방어 조약을 맺었으며, 몇년 후에는 프랑스와도 방어 조약을 맺으며 군사적으로 협력도를 끌어올렸다. 2008년 1월에는 프랑스와 조약을 맺어 아부다비 인근에 영구적인 프랑스 군기지 주둔을 허가하기도 하였고, 2011년 3월에는 리비아에서 벌어지는 원정에 군인들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2004년 11월 2일, 아랍에미리트의 첫 대통령이었던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나하얀이 사망하였다.[5] 이후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하얀이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아랍에미리트는 헌법에 의거하여 각 토후국들의 국왕, 즉 칼리파들을 대통령으로 선출한다. 이후에는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히얀이 아부다비의 왕세제로 아부다비의 칼리파직을 승계하였다. 2006년 1월에는 두바이의 국왕이자 총리였던 막툼 빈 라시드 알막툼이 사망하였고,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이 아랍에미리트의 총리직과 두바이 국왕직을 모두 승계하였다.


할리파 빈 자예드 알나히얀 대통령
같이 보기

‎토후국 · ‎디르함 · ‎국기 · ‎대통령The United Arab Emirates, or simply the Emirates, is a country in Western Asia. It is located at the eastern end of the Arabian Peninsula and shares borders with Oman and Saudi Arabia, while having maritime borders in the Persian Gulf with Qatar and Iran. Wikipedia
President: Mohammed bin Zayed Al Nahyan Trending
Capital: Abu Dhabi
Dialing code: +971
Population: 9.365 million (2021) World Bank
Currency: United Arab Emirates Dirham
Gross domestic product: 415 billion USD (2021) World Bank
Continent: Asia


===========================================
https://www.google.ca/search?q=%EC%95%84%EB%9E%8D%EC%97%90%EB%AF%B8%EB%A6%AC%ED%8A%B8&hl=en&sxsrf=AJOqlzUF_LK2djQuLuJSukffgpXq1XOOMA%3A1673939068124&ei=fEjGY7adB7aG0PEPp86nyAo&gs_ssp=eJwBIADf_woIL20vMGoxejgwAUoS7JWE656N7JeQ66-466as7Yq4xAEP1A&oq=%EC%95%84%EB%9E%8D%EC%97%90%EB%AF%B8%EB%A6%AC&gs_lcp=Cgxnd3Mtd2l6LXNlcnAQARgAMgUILhCABDIFCAAQgAQyBQgAEIAEMgoIABCABBCHAhAUMgUIABCABDIFCC4QgAQyBQgAEIAEMgUIABCABDIFCAAQgAQyBQgAEIAEOgcIIxDqAhAnOg0IABCPARDqAhC0AhgBOg0ILhCPARDqAhC0AhgBOgcILhDqAhAnOgQIIxAnOgsILhCABBDHARDRAzoKCC4QxwEQ0QMQJzoLCC4QrwEQxwEQgAQ6CAguEIAEENQCSgQIQRgASgQIRhgBUI3OLViqki5gibouaAVwAHgAgAFwiAHKB5IBAzcuNJgBAKABAbABFMABAdoBBggBEAEYCg&sclient=gws-wiz-ser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Copyright © CANADAKOREA.CA. All rights reserved.

Contact E-mail : canadakorea@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