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History 인류의 역사- 한국역사 불교 유교 한국기독교의 발자취 > history 역사

본문 바로가기

history 역사

Human History 인류의 역사- 한국역사 불교 유교 한국기독교의 발자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canada
댓글 0건 조회 1,182회 작성일 17-01-26 00:03

본문

Human history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uman_history
---------------------------------------
Prehistory (c. 3.3 million years ago – c. 3000 BCE) 1.1 Human evolution. ...
Ancient history (c. 3000 BCE – c. 500 CE) ...
Post-classical history (c. 500 CE – c. 1500 CE) ...
Early modern period (c. 1500 CE – c. 1800 CE) ...
Late modern period (c. 1800 CE – present) 5.1 19th century. ...

=======================
Human History timeline
https://www.google.ca/search?q=human+history+timeline&sxsrf=AB5stBjNQeKaiNvj6DKG4w7xMwo5AFD64w%3A1690453689106&source=hp&ei=uUbCZMLvA7qt0PEPr_KygAw&iflsig=AD69kcEAAAAAZMJUyau5qNDlOp-Gcv1f3v9cUh-RSnbH&oq=human+history&gs_lp=Egdnd3Mtd2l6Ig1odW1hbiBoaXN0b3J5KgIIADIFEAAYgAQyBRAAGIAEMgUQABiABDIFEAAYgAQyBRAAGIAEMgUQABiABDIFEC4YgAQyBRAAGIAEMgUQABiABDIFEAAYgARIuGtQ7w9Y8kRwAXgAkAEAmAGMAqABxQqqAQU5LjMuMbgBAcgBAPgBAagCCsICBxAjGOoCGCfCAgcQLhjqAhgnwgIEECMYJ8ICBxAjGIoFGCfCAggQABiKBRiRAsICCBAuGIoFGJECwgILEAAYgAQYsQMYgwHCAhEQLhiABBixAxiDARjHARjRA8ICERAuGIMBGMcBGLEDGNEDGIAEwgILEC4YgAQYsQMYgwHCAggQABiABBixA8ICDRAAGIAEGBQYhwIYsQPCAgoQABiABBgUGIcCwgILEC4YgwEYsQMYigXCAhEQLhiKBRixAxiDARjHARjRA8ICCBAuGIAEGLEDwgILEAAYigUYsQMYgwHCAggQLhiABBjUAg&sclient=gws-wiz
===================================================
하루 만에 배우는 한국사 요약 - 브런치
https://brunch.co.kr/@kimjinhyuk/170
한국 역사 요약 (시대별)
https://m.blog.naver.com/skimftw/220048520732
대한민국의 역사
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EC%97%AD%EC%82%AC
한국의 역사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D%98_%EC%97%AD%EC%82%AC

===========================================
---인류역사 HUMAN HISTORY--- ---

4000 BC까지-- 신석기 시대 --

-3100 BC 힌두이즘 --
-3100 BC 이집트왕조 -

3000 BC 스메리안 문자사용 --
3000 BC 이란지역문명 ---
3000 BC 이집트 파피러스사용 -

2800 BC 인더스강문명 --
2000 BC 황하,장강 문명

1900 BC  유대교 아브라함 -
 
1000 BC 페니키아 문자
1000 BC  히브리 문자

800 BC 희랍 그리스문자
800년 BC  ~600 AD  아람문자

563 BC Buddha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고타마 부다(Gautama Buddha)
551 BC Confucius --공자는 기원전 551년 탄생-

469 BC  소크라테스 Socrates --
400 BC: 철기시대

334 BC  -그리스 알렉산드리아 세게정복  헬레니즘문화
300BC 한자-갑골문자 -

235BC  -476 AD 로마제국 -

57BC~ 935AD년-신라
37BC----668 AD-고구려 [고주몽]
5 BC Jesus
---------------AD --------------------------------------------

610 AD 년 무함마드(Muhammad)가 창시한 종교.

918 AD-[고려Korea(918~1391)], --

-1209 -1368- 몽골제국 칭기스칸 -원나라멸망 ---

1392 -1910 AD조선 [이성계] ---

1443 세종대왕-한글 --

-1517 마틴루터 종교개혁 --
-1543년  코페르니쿠스는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를 발표한다.

1592-1508  임진왜란 정유재란 ---이순신장장군 명량대첩

1611  갈릴레오 망원경사용 ---

1636  청나라의 조선침략 ---
1687년  만유인력의 법칙 아이작 뉴턴의 발표 논문

1769  제임스 와트 증기기관
1850년대 그레고어 멘델이 완두콩 실험을 통해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견하였다
1879 에디슨의 전화송신기 ---

1903 비행기발명-라이트형제
1910-1945 한국-(일본지배기간) ---

1914-1918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1915년  아인슈타인이 논문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

1931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

1949년 콤퓨터기기 ---

1953 DNA구조 ---
1950-1953 한국전쟁 ---
1953년 제임스 D.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구조를 밝혀내었다

1969년  선장 닐 암스트롱등  달에 발을 딛은 최초의 인류가 되었다.

1973년- 모바일폰사용 ---
1974- PC 콤퓨터=



=====================================

*** [[우리는 몇대 자손인가?]] ***  1,000년이란?--인간이 50년(옛날) 살었다고 하면, 100번 산 시간,-- 20년 마다 자녀를 출산시대체로  50 Generation 세대**]]]

================================================================


---***한국역사 History of KOREA***--- ---
2333 BC to 108 BC- 고조선- 청동기시대국가-녀대는 불분명 ---
57 BC (*2071년전) to 668 AD ◇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시대- THREE KINGDOM OF KOREA) - ---
57 BC~ 935AD- 신라 [박씨,석씨,김씨왕국- 36대왕] ---
37 BC--668 AD-고구려 [고씨 - 28대왕] ---
18 BC - 660 AD--백제 [31대왕] ---
918 AD- 1391 고려 KOREA [473년 동안 36대왕- 평균 13년 재위]
---1392 -1910 이씨조선 [이성계]- CHOSUN- ---
◇ 이씨조선- 518년동안 27대왕- 평균 19년 재위 ---
1919년 3월 1일 ; 독립선언 •
임시정부수립 1919년 4월 13일 ---
1910-1945 한국-(일본지배기간) ---
1945년 8월 15일--광복 ---
1948년 7월 17일헌법공포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승만정부) ---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정부-김정일, 김정은 ) ---
1950년 6월 25일 Korean War ---
1953년 7월 27일 정전
---5•16 군사 정변- 1961년 5월 16일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이던 소장 박정희, 중령 김종필등 일부장교들이 장면 내각을 페각 ---박정희 정부는 1961년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후 1979년 까지. 1962년 3월 부터 1963년 12월 까지 윤보선 대통령의 사퇴로 제2공화국의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으며, 제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1963년 12월 취임 ---
전두환 全斗煥정부- 제5공화국- 군사반란으로 정권을 잡음 ---
노태우 정부(盧泰愚政府, 1987년 ~ 1993년)는 6월 항쟁의 결과로 성립된 제6공화국 ---
노무현 정부(盧武鉉 政府, 2003년~2008년) ---
이명박 정부(李明博 政府, 2008년~2013년) ---
박근혜 정부(朴槿惠政府)- 2013년 2월 25일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 --- ---
문제인정부  2017년 5월 10일 출범해 2022년 5월 9일까지
윤석열정부  2022 5.10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여덟 번째 정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DPRK) ---
◇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
한국역사 KOREAN HISTORY

---2300년전--300 BC:한국에 진나라설립-- Establishment of Jin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2050년전--57 BC 부터 668 AD-신라건국---[57 BC – 935 AD-신라-Silla]--[42BC부터 562AD:--가야연맹-Gaya confederacy]
---[37 BC – 668 AD-- 고구려-Goguryeo]---[18 BC – 660 AD--백제-Baekje]


[42BC부터 562AD:--가야연맹-Gaya confederacy]
372 AD: 고구려 불교도입 Under Sosurim, Goguryeo imports Buddhism from Former Qin of China.
384 AD: Chimnyu of Baekje officially adopts Buddhism.
676 AD: Silla repels Chinese alliance forces from Korean peninsula, completes unification of much of the Three Kingdoms.
698: The founding of Balhae by former Goguryeo general Dae Joyeong.
751: Silla, at its cultural peak, constructs Seokguram and Bulguksa.
828: 장보고 Jang Bogo establishes Cheonghaejin, a major center of trade with China and Japan.
892: Silla begins to lose control of parts of the peninsula as the brief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egins.

Goryeo 918–1392


***936: 고려의 통릴--Goryeo completes the re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bsorbing the remainder of Hubaekje and parts of former Balhae territory.
***956: 고려의 노예해방--Emperor Gwangjong forces major land and slavery reforms, and in 958 implements civil service examinations.


1033: Goryeo builds the Cheonri Jangseong (lit. "Thousand Li Wall"), a massive wall running along the northern border.
***1145: 김부식의 삼국사기--Kim Bu-sik compiles the Samguk Sagi, Korea's oldest extant history text.
***1170: The military coup.
br>
***1231: 몽고의 침입--The Mongol invasions of Korea begin.
***800년전--1234: 금속활자--Choi Yun-ui's Sangjeong Gogeum Yemun is published, world's first metal-block printed text.

***1251: Goryeo completes the Tripitaka Koreana, the most comprehensive and oldest intact version of the Buddhist canon in Chinese script. ***760년전--1270: 고려와 몽고조약--Goryeo signs a peace treaty with the Mongols, beginning an 80-year period of suzerainty. The Sambyeolcho Rebellion lasts for three years.
***700년전 1285:일연의 삼국유사-- Il-yeon compiles the Samguk Yusa, record of history and legends.

1285: Il-yeon compiles the Samguk Yusa, record of history and legends.


Joseon 1392–1897


***600년전--1392: 이성개의 조선 왕국--Yi Seonggye is crowned king, officially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1396: 서울로 수도이전--Capital moved to Hanyang. (modern day Seoul)
***1402: 종이통화--Paper currency initiated.
***520년전-1592: 임진왜란--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egins under the command of Toyotomi Hideyoshi ***510년전-1598-.이순신의 명랑대첩- Admiral Yi Sun-Sin employs the Turtle ship to repel Japanese
1627: The first Manchu invasion.
1653: Dutch ship, with Captain Hendrick Hamel, wrecked on Jeju Island.
1791: 천주교박해--Persecution of Catholicism begins.


Korean Empire
1897–1910
1905: Japan-Korea Treaty of 1905. Korea became the protectorate of Imperial Japan.
1909: October 26. Ito Hirobumi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is assassinated by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 Jung-geun.
1910: August 29.한일합방-- The Japan-Korea Treaty of 1910 started the annexation of the Korean Empire by Imperial Japan
Colonial period Japanese rule
1910 한일합방 –45

1919: 3.1독립운동--March 1st Movement. Spurred by the sudden and mysterious death of Gojong.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1919: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1920: 청산리도립국승리-- Battle of Cheongsanri, Korean independence Army, led by Kim Jwa-jin, victory.
1932: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Yun Bong Gil bombs Japanese Military gathering in Shanghai.
1938: 일본식이름으로개명--Governor-General of Korea begins Soshi-kamei (Order to Japanese-style name changes) policy.



Division of Korea[edit]
1945: 남북이 38선으로 갈라짐 After the surrender of Japan,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between Soviet and American occupation forces at the 38th parallel.
1945: 6 September, Establishment of Peoples Republic of Korea with Yuh Woon-Hyung, but 1946 February
1946: 미소위원회 해산--US-USSR Joint-Commission on the formation of a Korean Government reaches an impasse.It was dissolved as the Cold War begins.
1948: 10 May. 남한의 선거--UN sponsored elections are held in South Korea.
1948: 15 August. 남한정부수립--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Syngman Rhee as President.
1948: 25 August.북한정부수립--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ith Kim Il-sung as Premier.


***North Korea--1948–present****-South Korea --1948–present

1950: 25 June. 625 전쟁-- The Korean War begins.
1950: August.UN Forces are driven back to South-east corner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usan Perimeter).
1950: September. 인천상륙작전--UN Troops make an Amphibious Landing at Inchon.
1950: November. 중국의 전쟁가입--Chinese Forces enter the war
1953: 휴전협정 The Korean War is halted by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at has remained in force until now.

1960: 4.19 핫생운동--A student uprising begins the April Revolution which overthrows the autocratic First Republic of South .
1961: 16 May. 5.16 군사혁명 Military forces, headed by General Park Chung Hee, overthrow the Second Republic of South Korea
1962: 한국의 5개년 계획--start of the first Five-year plans of South Korea
1964: 남한의 베트남전쟁출정--South Korea joined Vietnam War
1965: 22 June.한일조약-- Signing of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1968: 1 April. 포항제철 Establishment of the Pohang Iron and Steel Company
1970: 22 April. 새마울운동-- Start of the government-operated New Community Movement
1970: 경부고속도로 --Gyeongbu Expressway is completed and opened to traffic.
1972: 12 August. 남북한 적십자회담--The first Red Cross tal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re held.

1977: 22 December.100억달라 수출-- Celebration of achievement of 10 billion dollars gained by exports.
1978: 10 December. Achievement of 1,117 US dollars as GNP.
1979: 군사쿠데타--Coup d'état of December Twelfth, Chun Doo Hwan gets military power
1988: 24th 서울 올림픽 Olympic Games held in Seoul
1990: 11 September: South Korea and the USSR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1991: 17 September: 남북한 유앤가입--North Korea (DPRK) and South Korea (ROK) join the United Nations (UN).
1992: 24 August: 한국과중국 수교--South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2002: The 2002 축구컵 FIFA World Cup jointly held by Korea & Japan.

===================
대한민국/역사 나무위키
2002년에는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FIFA 월드컵이 동시에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4위를 달성하면서 4강 신화를 이뤄내기도 했다. 같은 해에 부산에서는 제 14회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으며 사상 최초로 북한이 공식 참가하여 남북한이 동시 입장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사스 사태로 세계 경제가 약 48조원의 경제 피해를 입었다. 안 그래도 2003년에는 한국이 IMF 외환위기[11]의 후유증이랑 2002년에 발생한 카드대란 사태에 시달릴 때라 사스 피해까지 받아서 그 당시 한국경제는 암울했다.

2000년대 들어서 한국 영화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대한민국의 문화산업은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12]

그러나 경제성장과 민주화로 풍요롭게 살고 있는 신세대들과 과거 가난을 겪으며 자라거나 보수적인 사상에 익숙한 기성세대들간의 세대갈등부터 지역개발의 차이에서 오는 지역갈등같이 사회문제에서 오는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편협한 시각이나 돈이면 다 해결된다는 황금만능주의, 성장을 위한 지나친 경쟁사회로 인해 일어나는 인간소외현상, 지나친 개발로 인한 자연파괴 등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2000년대 초 일본에서 겨울연가를 시작으로 일본의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배용준의 욘사마 신드롬과 함께 한국 드라마의 인기가 급속도로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본에서도 한류라는 단어가 전해지게 된다.

경제적으로는 IMF, UN, 세계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가 2006년에 처음으로 2만 달러를 넘었다.

2010년 ~ 2011년 K-POP을 중심으로 신한류라는 단어가 등장하였다. 특히 2012년에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말 그대로 전세계적으로 열풍이 불게 되었고 한국 음악 역사상 처음으로 짧은 기간이었지만 한국 음악이 전세계의 음반 시장을 뒤흔들었다. 중남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부에서 한류가 더욱 확산되었다.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2010년 11월 11일에는 2010 G20 서울 정상회의를, 2012년 3월 26일에는 세계 50여개 국가가 모인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를 개최하였다. 1907년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서 입장조차 거절되었던 대한제국의 과거를 넘어, 높아진 국가적 위상과 국제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경제와 안보분야에서 국제적인 이슈를 논의하고 조율하는 의장국이 된 것이다. 누가 뭐래도 국위는 몰라보게 좋아졌다.
external/dimg.do...
반면 대남 도발은 정권교체 이후 거세졌으며 2010년 상반기에는 천안함 피격사건이, 하반기에는 연평도 포격 사태가 발생해 안보를 위협하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는 2011년 1월 14일, 대한민국의 저축은행 중 한 곳인 삼화저축은행이 PF로 인한 부실을 털어내지 못해서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되는 등 다수의 상호저축은행들이 건설사들에게 빌려준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2012년 3월 15일엔 한미 FTA가 발효되었다.
2.6.4. 2012년 ~2019년[편집]
2012년에는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세계박람회를 개최했다. 2014년에는 인천광역시에서 제 17회 아시안 게임을 개최했으며 2018년에는 강원도 평창군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여러 안전불감증 관련 사고[13], 북한의 위협 재증대[14]에 더해 장기적 불경기로 인하여 사회적인 갈등이 심화되었다.

2016년 말에는 사상 초유의 민간인의 국정농단 정치 스캔들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분노한 국민들이 촛불을 들고 탄핵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대한민국이 추구했던 성장중심사회의 어두운 단면이 드러나게 되었다. 2016년 12월 3일 6월 항쟁의 참여인원을 뛰어넘어 대한민국사 최대 인원인 232만 명의 국민들이 거리로 나와 촛불을 들어 박근혜의 퇴진을 요구함으로써 12월 9일에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통과되어 공식적으로 직무가 정지되었고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에서 재판관 8명의 만장일치로 탄핵이 인용되어 박근혜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다.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이 이루어진 것이다.

2017년 5월 9일, 조기 대선으로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치뤄졌고 기호 1번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41.1%로 당선되면서 대한민국 헌정 사상 3번째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이는 대통령 선거 역사상 가장 많은 득표 차이로 당선되었으며, 이전까지는 531만 7,708표 차이를 기록한 17대 대선이었지만, 이번 19대 대선에서 1, 2위간의 득표 차이가 557만 951표를 기록하면서 갱신됐다. 또한 경제적으로는 2017년, IMF, UN, 세계은행 통계 기준 최초로 한국의 1인당 GDP가 3만 달러를 넘었다.

2018년, 참여정부 이래 처음으로 남북 정상들이 만났다. 사진은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이며, 좌측은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 우측은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전후 남북관계는 빠르게 발전하였으나,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과 2020년 6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이후 남북관계는 다시 냉각된다.
...

한편 2019년 후반기에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을 둘러싼 논란과 의혹인 조국 사태가 사회를 양분시켰다. 이는 대규모 집회로까지 이어져서 진영별로 각각 조국 전 법무부장관 규탄 집회와 검찰개혁 촛불문화제로 이어졌다.
2.6.5. 2020년대[편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
2020년 새해가 밝자마자 중국 우한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큰 피해를 입었다. 한때 여러 집단감염으로 국가별 감염자수 2위까지 올라갔었지만 3월부터 유럽, 미국 등에서도 대규모 감염이 일어나며 순위권에서 벗어났다. 2020년 8월달에 2차 대유행, 11월달에 3차 대유행, 2021년 7월달에 4차대유행, 그리고 2021년 11월달부터 계속 5차 대유행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유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 양극화를 비롯한 사회갈등과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문제들이 심화되고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0.73%라는 역대 최소 득표율 차로 기호 2번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로써 5년만에 정권교체가 되며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이어져오던 보수-진보 정권 10년 주기설은 깨지게 되었다. 이 후 5월 10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다.

2022년 6월 21일,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세계 11번째로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다.
===========================================

3. 대한민국에서 개최한 주요 국제 행사[편집]
1960년: 1960년 AFC 아시안컵
1986년: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년: 1988 서울 올림픽
1993년: 1993 대전 엑스포
1997년: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부산 동아시아 아시안 게임
1999년: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2002년: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2003년: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07년: 2007 FIFA U-17 월드컵
2011년: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2년: 2012 여수 엑스포
2014년: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5년: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7년: 2017년 FIFA U-20 월드컵
2018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19년: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

****불교(佛敎, Buddhism**** 힌디어: बौद्ध धर्म)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1]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다. 불교는 고타마 붓다가 펼친 가르침이자 또한 진리를 깨달아 부처(붓다 · 깨우친 사람)가 될 것을 가르치는 종교이다.[2]

오늘날까지 2,50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불교는 다양하고 복잡한 종교적 전통을 지니게 되었다. 오랫동안 아시아를 중심으로 전파된 불교에는 많은 종파가 있어 모두를 아우르는 정의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불교는 일반적으로 개조(開祖)로서의 부처, 가르침으로서의 법, 그리고 이를 따르는 공동체인 승의 삼보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3]

불교의 수행의 궁극적인 목표 또는 1차적인 목표는 깨달음(반야 · 보리)에 도달하는 것이다.[4][5]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은 열반에 도달하는 것과 동일하며 불성을 깨치는 것과 동일하다.[4][5] 불교경전인 《열반경》에는 이러한 견해가 뚜렷이 나타나 있다:


Gautama Buddha, also known as Siddhārtha Gautama,[note 1] Shakyamuni,[note 2] or simply the Buddha, was a sage[4] on whose teachings Buddhism was founded.[5] Born in the Shakya republic in the Himalayan foothills, he is believed to have lived and taught mostly in eastern India sometime between the sixth and fourth centuries BCE.[6][note 3]

The word Buddha means "awakened one" or "the enlightened one." "Buddha" is also used as a title for the first awakened being in an era. In most Buddhist traditions, Siddhartha Gautama is regarded as the Supreme Buddha (Pali sammāsambuddha, Sanskrit samyaksaṃbuddha) of our age.[note 4]
=================================================

****유교(儒敎-Confucianism****)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을 종교적 관점에서 이르는 말이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한다.[1] 지켜야 할 인륜의 명분(名分)에 대한 가르침이라고 하여 명교(名敎)라고도 한다.[2]

유교의 특징 또는 핵심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유교는 수기치인의 학이라 할 수 있다. 즉, 유교는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그것을 향한 실천이라고도 할 수 있다.

유교는 전국시대(기원전 403~221)에는 제자백가의 하나인 유가(儒家)로 등장했지만, 전한의 무제(재위 기원전 141~87) 때 국가 정통의 학문이 된 후로는 중국의 학문과 사상계를 대표하게 되어 현대의 중국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치와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었다.[3]

유교의 주류는 전국시대에는 맹자로 대표되는 내성파의 학문과 순자로 대표되는 숭례파의 학문, 한나라와 당나라 시대의 훈고학과 경학, 송나라 시대의 성리학, 명나라 시대의 양명학, 청나라 시대의 고증학 등으로 발전 또는 변천되었다.

============================================
Confucius (551–479 BC)[1] was a Chinese teacher, editor, politician, and philosopher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f Chinese history. The philosophy of Confucius emphasized personal and governmental morality, correctness of social relationships, justice and sincerity. His followers competed successfully with many other schools during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era only to be suppressed in favor of the Legalists during the Qin Dynasty. Following the victory of Han over Chu after the collapse of Qin, Confucius's thoughts received official sanction and were further developed into a system known as Confucianism.

======================================================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1600여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한국 불교는 토착화되면서 한국인에 맞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종교 사상이 되었다

삼국 시대에 전래된 이후 오랜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한국불교는 토착화되면서 한국인에 맞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종교 사상이 되었는데, 그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불교는 인도나 중국에서 분화되었던 사상을 융합하려는 통불교적 성격의 노력이 컸다. 이는 원효의 화쟁사상, 의천의 교관겸수, 지눌의 정혜쌍수의 사상 등에서 보듯이 교종에 속하더라고 선정 수행을 중시하고 선종에 속하더라고 교가의 공부를 경시하지 않았던 것에서 잘 나타난다.

둘째, 사상 체계를 요약하여 수행을 통해 자심(自心)을 밝히는 것을 중시하였다. 이는 원효의 일심사상, 신라말기와 고려초의 선종 구산, 고려 중기 이후의 오교 양종, 조선 시대의 선교 양종, 현대의 조계종의 출현, 성철의 돈오돈수 사상 등으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잘 나타난다.

셋째, 위태로운 때를 당하면 불교에 의지하려는 생각이 깊었는데 호국불교(護國佛敎)의 사상적 명맥을 거기에서 찾을 수 있다. 호국불교의 사상은 자장의 불국토 사상, 불국사와 석굴암의 건립, 팔만대장경의 성립, 임진왜란 때의 승병의 활동 등에서 잘 나타난다.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다.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전래[편집]
유교라면 중국을 발상지로 하고 그것이 여러 나라로 전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삼국시대 이전의 한국사상에 대하여는 문헌 부족으로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유학사상은 한자의 전래와 더불어 들어왔다고 생각된다.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년)에 태학(太學)을 세워 자제를 교육하였고,[1] 또한 지방 곳곳에 경당을 두어 청년들에게 유교 경전(經典)과 궁술(弓術)을 연마시켰다. 이것은 유교의 경전과 6예(六藝)로써 국민교육을 실시하였음을 의미한다.

백제도 거의 같은 시기인 근초고왕 때 박사 왕인(王仁)이 일본으로 《논어》(論語)와 《천자문》(千字文)을 전수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유교 경전을 연구하는 기관이 설치되고, 유학사상이 널리 보급되었음을 미루어 생각할 수 있다.

신라의 국학(國學) 설립은 682년(신문왕 2년)[2]으로서 교과내용이 오경(五經)으로 되어 있으며, 논어·효경(孝經)을 필수로 하였던 것이다. 또한 설총은 이두로써 구경(九經)을 설명하였다. 이미 진흥왕 때 화랑 제도를 창설함에 있어서 “효제충신은 나라 다스림의 대요(敎之以 孝悌忠信 亦理國之大要也)”라고 하여 유교 이념을 근본으로 했던 것이며, 화랑들이 연마한 것은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서 볼 수 있듯이 유교경전이었던 것이다. 또한 진흥왕 순수비 속에 나오는 “몸을 닦아 백성을 편안케 한다(修己以安百姓)”란 논어의 구절이나, '충신정성(忠臣精誠)'·'위국진절(爲國盡節)' 등의 용어가 나오는 것은 치국의 이념으로서 유교사상이 기초가 되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교 사상은 이미 삼국시대에 오경사상(五經思想)을 중심으로 하여 정치이념이 되었으며, 국민을 교육하는 원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유교에서는 효(孝)의 관념을 중시하거니와 삼국시대에 있어서 국가의 체제가 정비되어 감에 따라 그 기반을 확고히 할 뿐 아니라,

국력을 신장하고 국가를 수호한다는 필요성에 의하여 효(孝於家)와 더불어 충(忠於國)의 의미가 더욱 강조되었다. 충과 효는 삼국시대로부터 내려온 한국 유교의 보편적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유학의 목표는 첫째로 경전과 역사서에 통달하여 정치나 법률의 제도를 잘 알며, 또 그것을 운용할 만한 관리가 되는 것이며, 둘째는 사부(詞賦)와 문장을 능하게 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그때의 유교는 안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고 밖에서 구하였으며,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고 수단을 위한 것이었다.

삼국시대의 대표적 유가로는 신라의 설총·최치원 등인데, 설총은 방언(方言)으로서 구경(九經)을 해석하여 뒷사람을 가르쳤으며, 최치원은 12세 때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하였고, 황소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高騎)의 종사관이 되어 〈토황소격(討黃巢檄)〉을 지어 천하에 문명을 떨쳤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건국 후 불교를 숭상하자 유학은 점점 쇠미하더니 제6대 성종에 이르러 국자감(國子監)을 설치, 경학박사(經學博士)를 두고 유학을 장려하였으나 사류(士類)는 모두 시부공령(詩賦功令)의 업에 힘쓸 뿐, 경학에 종사하는 자는 심히 적었다.

고려 시대[편집]
신라 말기의 어지러운 난국을 타개하고 통일국가를 형성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은, 국가의 창업이 불력(佛力)과 삼한산천(三韓山川)의 도움으로 된 것이라 하여 불교를 장려하고 토속적인 신앙과 도교적인 풍수설을 숭신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통치이념에서는 태조십훈요의 끝부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교사상에서 구하였던 것이다. 경사(經史)를 널리 보고, 후대의 왕들에게 어진 정치를 베풀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서경(西京)에 학교를 세운 것도 유교를 이념으로 인재를 교육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6대 성종 때에 이르러서는 국자감(國子監)을 세우고 경학박사를 두었으며, 최승로의 진언에 따라 국정을 쇄신하였다. 제4대 광종 때부터는 과거를 시행함으로써 글을 숭상하는 풍습이 일어났으나, 사장시부(詞章詩賦)에 관한 제술(製述, 시나 글을 짓는 일)을 명경(明經, 경서의 대목을 외는 일)보다 치중함으로써 경학의 연구는 미약한 상태였다. 그 후 11대 문종 때에는 최충의 구재(九齋)를 비롯한 사립 학교가 성행하여 이른바 십이도(十二徒)가 일어나고, 경사(經史)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풍이 생겼다.

그러나 최충 이후 200여 년간 유교는 부진한 상태였고, 대부분이 시부(詩賦)를 위주로 한 문장학에만 치중하였다. 당시에는 유가(儒家)라 해도 순수하게 유학만 연구한 것이 아니라, 중국에 있어서 당나라 시대의 경향과 같이 유·불도가 혼합된 상태였다. 그리하여 고려말에 이르러, 건국 이래 겪어온 혼란과 문화적인 침체를 타개할 수 있는 새로운 개혁이 요청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일어난 것이 곧 유교의 혁신 운동이다.

제25대 충렬왕 때에 안향(安珦)이 충렬왕을 따라 대도에 들어가 《주자전서(朱子全書)》를 입수하고 돌아온 후 정부에 건의하여 국학을 세우게 하고 문묘(文廟)를 중수하게 하는 등 유학 부흥에 큰 공적을 남겼다.

성리학이란 중국에서 한·당(漢唐)의 도불시대(道佛時代)를 거쳐 그것에 대항하여 새롭게 조직·편성된 유학의 이론 체계였다. 당시로서는 새롭고 합리적이며, 강한 자주정신을 가진 성리학은 새로운 기풍을 일으키게 되었다.

안향(安珦)의 문묘개수(文廟改修)와 주자서(朱子書) 도입, 그리고 후진의 교육이 발흥하여 성균관을 중심으로 백이정·우탁(禹倬)·권부(權簿)와 같은 유학자를 내었는데, 백이정은 이 정주학을 연구하고, 우탁은 이때 들어온 정주(程朱)의 역전(易傳)을 연구하여 고려에서 처음으로 역리(易理)의 학문을 전파하였으며, 권부는 《주자전서》의 간행을 건의하는 등 모두 정주학 진흥에 공로가 컸다. 안향의 학문은 이제현·이색에 이어 정몽주·정도전·권근(權近)과 같은 사류(士類)를 배출하였다.

그 중 정몽주는 성리학에 정통할 뿐만 아니라 도덕과 경륜에서도 일가를 이루어 고려왕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충신으로 “동방 이학(理學)의 시조”라 불린다.

그러나 현재 《포은집(圃隱集)》에는 약간의 시문(詩文)뿐 유학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한편 이색의 후배인 이숭인도 정몽주와 함께 태학 교수로서 유학이 흥하고 번성하도록 힘을 기울였으나 그는 유학자라기보다는 도리어 문학자 특히 시인으로 유명했다.

성리학은 인간의 본성과 존재의 원리를 탐구하는 심오한 학문으로서, 종래의 불교사상이나 도가사상(道家思想)에서 추구하였던 형이상학적 요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주자학(朱子學)은 외적으로 사회적 제도와 규범의 원리가 되는 것으로서 일종의 비판철학이며, 역사철학의 구실을 하였다.

조선 시대[편집] 조선의 성리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선의 유교는 철학이 중심이었고 그 철학은 하나의 학문으로서만이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민중을 움직이기도 하는 특성을 보인다. 국정의 부패를 규탄하는 유생들의 상소라든가 국권을 침해되었을 때 항거하는 의로운 행동을 보여줌은 한국 유교사(儒敎史)의 면목이기도 한다.

=

===============================================================

*****KOREA*****
The Korean Wave (Hangul: 한류; hanja: 韓流; RR: Hallyu; MR: Hallyu)
is a neologism referring to the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culture since the late 1990s. The term was originally coined in mid-1999 by Beijing journalists who were surprised by China's growing appetite for South Korean cultural exports. They subsequently referred to this new phenomenon as "Hánliú" (韓流), which literally means "flow of Korea".

First driven by the spread of K-dramas televised across East and Southeast Asia during its initial stages, the Korean Wave evolved from a regional development into a global phenomenon due to the proliferation of Korean pop (K-pop) music videos on YouTube.[5] Currently,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to other regions of the world is most visibly seen among teenagers and young adults in Latin America, Northeast India, the Middle East, North Africa, and immigrant enclaves of the Western world.

The growing acceptance of South Korean pop culture as a valid form of entertainment in many parts of the world has prompted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to use the Korean Wave as a tool for soft power. Ultimately, the government hopes that the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in foreign countries would be reciprocated by an embracement of foreign cultures among South Koreans, thus realizing the ideals of a bidirectional flow of culture, goods and ideas in order to achieve the following goals

Korea, called Hanguk (Korean: 한국; Hanja: 韓國) in South Korea and Chosŏn (Korean: 조선; Hanja: 朝鮮) in North Korea,
is an East Asian territory that is divided into two distinct sovereign states, North Korea (aka, DPRK or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South Korea (aka, ROK or Republic of Korea). Located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 is bordered by China to the northwest and Russia to the northeast. It is separated from Japan to the east by the Korea Strait and the East Sea. Refer to the talk page. The adoption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Hanja" in Korean) in the 2nd century BC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4th century AD had profound effects on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hich was first united during the Silla (57 BC – AD 935) under the King Munmu. The united Silla fell to Goryeo in 935 at the end of the Later Three Kingdoms. Goryeo was a highly cultured state and created the Jikji in the 14th century. The invasions by the Mongolians in the 13th century, however, greatly weakened the nation, which was forced to become a tributary state. After the Mongol Empire's collapse, severe political strife followed. The Ming-allied Joseon emerged supreme in 1388.

The first 200 years of Joseon were marked by relative peace and saw the creation of the Korean Hangul alphabet by King Sejong the Great in the 14th century and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onfucianism.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dynasty, however, Korea's isolationist policy earned it the Western nickname of the "Hermit kingdom". By the late 19th century, the country became the object of the colonial designs by Japan. In 1910, Korea was annexed by Japan and remained a colony until the end of World War II in August 1945.

In 1945,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agreed on the surrender of Japanese forces in Korea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leaving Korea partitioned along the 38th parallel, with the north under Soviet occupation and the south under U.S. occupation. These circumstances soon became the basis for the division of Korea by the two superpowers, exacerbated by their inability to agree on the terms of Korean independence. The two Cold War rivals then established governments centered around their own respective ideologies, leading to Korea's division into two political entitie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refers to the shared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ninsula
originating from the early Korean nomadic tribes to the extensive influence of 9,000 years of ancient Chinese culture to modern times.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peninsula has been split political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ulting in a number of cultural differences. Before Joseon Dynasty, the practice of Korean shamanism was deeply rooted in the Korean culture.

Beliefs Main articles: Korean shamanism, Korean Buddhism and Korean Confucianism
The original religion of the Korean people was Shamanism, which though not as widespread as in ancient times,
still survives to this day. Female shamans or mudang are often called upon to enlist the help of various spirits to achieve various means.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later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ultural exchanges with Chinese dynasties. Buddhism was the official religion of the Goryeo dynasty, and many privileges were given to Buddhist monks during this period. However, the Joseon period saw the suppression of Buddhism, where Buddhist monks and temples were banned from the cities and confined to the countryside. In its place a strict form of Confucianism, which some see as even more strict than what had ever been adopted by the Chinese, became the official philosophy.

Throughout Korean history and culture, regardless of separation, the traditional beliefs of Korean Shamanism, Mahayana Buddhism and Confucianism have remained an underlying influence of the religion of the Korean people as well as a vital aspect of their culture.[19] In fact, all these traditions coexisted peacefully for hundreds of years. They still exist in the more Christian South and in the North, despite pressure from its government.

Music[edit] Music of Korea Korean Music-Parade
There is a genre distinction between folk music and court music. Korean folk music is varied and complex, but all forms maintain a set of rhythms (called 장단; Jangdan) and a loosely defined set of melodic modes. Korean folk musics are Pansori (판소리) performed by one singer and one drummer. Occasionally, there might be dancers and narraters. They have been designated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UNESCO's Memory of the world,[15] and Pungmul (풍물) performed by drumming, dancing and singing. Samul Nori is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Pungmul, and Sanjo (산조) that is played without a pause in faster tempos. Nongak (농악) means "farmers' music".

Korean court music can be traced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1392. Korean court musics include A-ak, Dang-ak and Hyang-ak. Korean music is still played and sang a lot.

Clothing Main article: Hanbok
Hwarot, bridal robe The traditional dress known as hanbok (한복, 韓服) (known as joseonot [조선옷] in the DPRK) has been worn since ancient times. The hanbok consists of a shirt (jeogori) and a skirt (chima). The traditional hat is called gwanmo and special meaning is attached to this piece of clothing.

According to social status, Koreans used to dress differently, making clothing an important mark of social rank. Impressive, but sometimes cumbersome, costumes were worn by the ruling class and the royal family. These upper classes also used jewellery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ordinary people. A traditional item of jewellery for women was a pendant in the shape of certain elements[which?] of nature which was made of precious gemstones, to which a tassel of silk was connected.
================================================
Cuisine Main article: Korean cuisine
Bibimbap Rice is the staple food of Korea. Having been an almost exclusively agricultural country until recently, the essential recipes in Korea are shaped by this experience. The main crops in Korea are rice, barley, and beans, but many supplementary crops are used. Fish and other seafood are also important because Korea is a peninsula.

Fermented recipes were also developed in early times. These include pickled fish and pickled vegetables. This kind of food provides essential proteins and vitamins during the winter.

A number of dishes have been developed. These can be divided into ceremonial foods and ritual foods. Ceremonial foods are used when a child reaches 100 days, at the first birthday, at a wedding ceremony, and the sixtieth birthday. Ritual foods are used at funerals, at ancestral rites, shaman's offerings and as temple foo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emple Food is that it does not use the common five strong-flavoured ingredients of Korean cuisine--(garlic, spring onion, wild rocambole, leek, and ginger), and meat.

Kimchi is one of the famous foods of Korea. Kimchi is pickled vegetables which contain vitamins A and C, thiamine, riboflavin, iron, calcium, carotene, etc. There are many types of kimchi including cabbage kimchi, string onion kimchi, cucumber kimchi, radish kimchi, and sesame kimchi.

 




=============================================

*********** 한국의 역사 (위키백과) ***** 한국의 역사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
고조선 시대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
 원삼국 시대 - 부여 (기원전 2세기 ~ 494년) 옥저 동예 삼한(마한 • 진한 • 변한) ------
 삼국 시대 가야 (42년 ~ 562년) 고구려 (기원전 37년 ~ 668년) 백제 (기원전 18년 ~ 660년) 신라 (기원전 57년 ~ 676년) ------
남북국 시대 통일신라(676년 ~ 892년)
발해(698년 ~ 926년) ------
후삼국 시대 신라(892년 ~ 935년) 후백제(892년 ~ 936년)
태봉(901년 ~ 918년) ------
통일 왕조기 고려(918년 ~ 1392년)
조선(1392년 ~ 1897년)
대한제국(1897년 ~ 1910년) ------
식민지 시대 일제 강점기(1910년 ~ 1945년) ------
대한민국 임시 정부(1919년 ~ 1948년) ------
분단 한국 군정기(1945년 ~ 1948년)
대한민국(1948년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48년 ~ 현재)





=====================================================================
1. 한국 기독교의 발자취
1) 기독교의 성장배경
19세기 말 조선에서 �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이 시작된 이후 한국 개신교는 세계의 주목을 끌만큼 놀랍게 성장해왔다. 오늘날 4명중에서 1명은 개신교 신자일 정도로 한국 개신교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다.

이와 같은 개신교의 성장배경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들이 있지만, 이런 논의들은 당시 개신교가 처해 있던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볼 때 좀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서 개신교의 성장을 이해하면 개신교 성장의 원인을 서구 선교사들이나 개신교 지도자들의 공로로 돌리는 엘리트중심주의적인 주장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개신교 자체 내에 성장할 수 있는 무엇이 있었다는 주관적인 판단에 빠질 위험성도 막을 수 있다.


2) 도입기…교육과 의료를 통한 간접적 선교
한국 개신교의 역사는 19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인 개신교의 활동은 한국의 문호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들어온 선교사들로부터 시작된다. 선교사들이 한국을 처음 방문했을 무렵에 선교의 자유가 보장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직접적으로 선교하기보다는 학교와 병원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선교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1884년 미국 북감리회의 맥클레이(R. S. Maclay)는 고종을 만나 병원설립과 학교설립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당시 조선정부는 서구의 근대문명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병원과 학교의 설립을 허가했지만, 이는 선교사들에게 선교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1884년 9월 22일에는 중국에 있던 미국 북장로회 소속의 선교사 알렌(H. N. Allen)이 주한미국공사 공의로 부임하였고, 1885년 4월에는 최초의 근대병원인 제중원(濟衆院)이 설립되었다.

1885년 4월 5일에는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들인 미국 북감리회의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부부와 미국 북장로회의 언더우드(H. G. Underwood)가 인천에 도착했다. 하지만, 당시 외국의 종교는 배척되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이들은 처음부터 개신교의 복음을 선교할 수 없었다. 그래서 언더우드는 한국에 온 직후 미국 공사에게 "우리는 교육사업을 시작하고 어학을 연구하려 왔습니다. 우리가 한국어 연구생이자 교육사업가로서 미국의 국기 아래 보호를 받을 수 있겠습니까?....지금은 선교사업이 아니라 교육사업을 시작하려는데 어떤지요?"라는 편지를 썼다. 언더우드의 편지에는 직접적인 선교활동이 아니라 학교교육과 병원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선교하려는 자세가 나타나있다.

아펜젤러는 1885년 8월에 '배재학당'을 세워 최초의 근대교육의 문을 열어 놓았다. 이 학교는 1887년 6월 8일 고종이 직접 '배재'(培材)란 이름을 지어주었을 만큼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또 다른 감리교 선교사인 스크랜턴(M. F. Scranton)은 1886년 5월 30일에 정동에 여학당을 설립했는데, 이 학교는 1887년 명성황후의 사명(賜名)으로 '이화학당'(梨花學堂)으로 불리게 되었다. 우리나라 근대식 고등교육의 출발은 1886년 4월 29일 제중원의 의학부로 개설된 후 1899년 정식 의학교로 발전된 세브란스의학교이다. 이 학교는 최초의 의학교인 동시에 고등교육 기관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3) 선교초기…근대 문명의 산파 역할
개신교를 통해 유입된 근대문명은 유교적 가치관과 사회질서에 묶여 있던 당시 사람들에게 새로운 세계에 대한 자각을 불러 일으켰다. 가난과 기근, 전염병과 문맹의 악순환에서 조선정부와 관리들은 문제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었다. 또한 조선정부는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서구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이라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근대문명을 안고 들어온 개신교가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당시 사람들에게 미친 파급효과는 강력할 수밖에 없었다. 선교초기의 개신교는 당시 사람들에게 종교라기보다는 근대문명의 산파로 생각되었다. 결국 개신교로 인해 도입된 근대문명은 한국사회와 문화체계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계기를 제공했다. 이광수는 개신교에 대해서 "개신교는 어두운 한국사회에 구미의 새로운 문명을 제일 먼저 도입하여 문명개화와 자유인권의 선구자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개신교는 봉건사회에서 양반에 의해 억눌렸던 상인, 천민, 여성들에게 인권, 자유와 평등의 관념을 제공했던 것이다.


4) 일제시대…민족독립과 계몽운동의 근원지
선교 초기의 개신교가 봉건사회를 근대문명으로 이행시키는 산파 역할을 함으로써 성장의 기초를 마련했다면, 오늘날의 개신교는 일제시대를 거쳐 한국전쟁과 산업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성장의 위기와 극복이라는 혼란을 겪으면서 생존력을 키워왔다고 볼 수 있다.

일제시대에 개신교는 민족독립과 계몽운동의 근원지였다. 3.1 독립운동을 기점으로 많은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또한 개신교는 학교교육과 교회, 그리고 여러 단체를 통해 계몽활동을 전개하여 대중교육과 근대지식인의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개신교는 사람들에게 한글을 가르쳐서 문맹률을 낮추었고, 역사의식을 고취시켜 자칫 일제하에서 상실되기 쉬운 문화적 정체성의 유지에 기여했다.


5) 해방기…교세확장의 기회와 특권 획득
일제의 강압에 못 이겨 신사참배에 동조하고, 일본 정부의 통제 아래 단일한 교단으로 부속되는 위기 상황 속에서 개신교는 해방과 함께 새로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종교문화의 측면에서 볼 때, 개신교는 그 동안 계몽과 근대의 깃발을 휘두르며 전통종교와 민간신앙과 긴장관계를 형성해왔다. 많은 민간신앙을 미신과 사이비종교라고 비판하는 동시에 전통종교가 근대화에 적응하지 못했던 틈을 타서 교세확장의 기회를 삼을 수 있었던 것이다. 해방과 함께 정치사회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지도자들은 대개 기독교인들이었다.특히 이승만 정권 아래 관료와 정치인들의 대부분은 기독교의 배경을 지니고 있었다. 기독교는 자연스럽게 정치와 밀월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주어진 혜택은 대단한 것이었다. 하나의 예로 군대에 선교나 포교를 할 수 있는 군종제도도 주로 개신교에만 주어진 특권이었다.


6) 한국전쟁기…정신적·물질적 안정 제공
한국전쟁과 함께 월남한 북한의 교인들은 가는 곳곳마다 교회를 세웠다. 교회는 고향을 상실한 사람들이 함께 모일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고, 자신들의 고통과 아픔을 토로하고 치유받을 수 있는 공간이자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일종의 고향이었다. 한국전쟁이 안겨준 사회문화적 위기는 비단 월남민의 경험만이 아니라 한국인 모두에게 해당되었다. 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었던 한국인들에게 물리적·정신적 안정을 제공했던 가장 활발한 종교단체는 개신교였다. 개신교는 선교 본국으로부터 대량의 구호물자를 제공하였고, 이 과정에서 복음을 꾸준히 전파해갔다.


7) 경제개발기…경제 선장에의 편승
한국전쟁은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정신적 환경을 새롭게 조성할 만큼 강력한 영향력을 미쳤다. 사람들은 한국전쟁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 영역에 걸쳐 전통적인 관습과 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흐름을 타고 시작된 1960년대의 경제개발은 한국 사회의 구조를 총체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62년부터 1982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8.3%였고, 1인당 GNP는 1962년의 82달러에서 1983년의 1,884달러로 25배나 급증했다. 정부 주도형의 경제성장은 국민의 의식과 생활방식의 변화를 함께 추구했다. 전국에서 실시된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을 구호로 하면서, 전근대적인 속성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했다. 전통적인 민간신앙은 배척되었고, 가옥의 구조와 식생활의 개량이 진행되었다. 산업화와 함께 이농현상과 도시화도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대성에 적합했던 개신교는 자연히 경제성장의 흐름을 탈 수 있었다.


8) 1970·80년대…민주화 운동의 산실
산업화로 인한 노동자의 인권문제와 경제적 착취, 그리고 정치권력의 부패에 대한 저항세력으로서 1970년대와 80년대에 기독교는 민주화운동의 산실 역할을 수행했다. 개신교가 지닌 이런 긍정적인 모습에도 불구하고, 그 성장배경에는 자본주의 경제원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교회물량주의와 카리스마적인 지도력이 놓여 있었다.

대형화된 교회는 교단이라는 공동체의 틀에서 벗어나 점차 이기적인 개교회주의의 모습을 띠어갔다. 개교회의 공동체만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려는 이러한 이기적 개체주의는 군사독재정치에 의한 정치불안, 도시화와 그에 따른 공동체와 소속감의 상실, 급변하는 사회현상에 따른 가치관의 혼란과 아노미(anomie) 현상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개신교 성장의 원인은 '성령의 역사' 때문이라는 교회의 고백에도 귀를 기울여야 하지만, 그 원인을 사회적·문화적 변동에 따른 종교의 성장 혹은 후퇴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사회학적 분석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사회학적 분석은 개신교의 성장이 정부의 주도하에서 실행된 근대화와 산업화에 개신교가 적절하게 적응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하게 해 준다. 선교초기부터 근대성과 함께 전개된 개신교는 최단시간에 근대화를 추구했던 정치적·경제적 논리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교세를 확장해왔던 것이다.


2. 기독교와 한국문화의 만남
1) 한국 문화 속의 기독교
오늘날 한국의 개신교 계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것은 아마 '기독교 신앙의 한국적 토착화'가 아닐까 한다. 왜냐하면 기독교가 한국에 소개된 지도 이미 한 세기를 넘겼고, 더 이상 기독교를 서구에서 들어온 외래종교라고만 부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미 기독교의 영성과 신학은 한국인들의 신앙을 바탕으로 큰 흐름을 형성해왔고, 현재도 사회적 세력으로서도 무시할 수 없는 존재로 자리잡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앙적 전통과 사회적 영향력에 비해 지금까지 개신교가 한국 문화에 기여한 바는 극히 미미한 형편이었다. 이제 한국의 개신교는 양적인 성장을 추구하기보다는 차분히 내실을 다지기 위해서 질적인 성장을 추구할 시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개신교의 내적 성장이라는 점에서 볼 때, 앞으로 개신교가 문화적인 측면에서 풀어야 할 큰 숙제는 한국 문화라는 특수한 조건에서 어떻게 기독교 신앙의 보편성을 실현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신앙과 한국의 문화가 조화롭게 만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움직임을 잘 표현해주는 말이 바로 토착화일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개신교에서 토착화의 문제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 하나는 신학의 토착화였으며, 다른 하나는 예배 의식의 토착화였다. 그 각각의 추이와 성과를 살펴본다면 향후 한국 개신교가 걸어가야 할 방향을 짐작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2) 신학의 토착화
과거에도 토착화와 관련한 신학적인 논의들이 있었지만 1960년대에 들어와서 본격적인 논쟁으로 비화되었다. 토착화 신학논쟁이 벌어지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다.

1957년 신학 전문잡지로 창간된 《기독교사상》은 당시 한국 신학자들이 글을 발표하는 대표적인 잡지로서 신학 논의와 개신교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 잡지는 이른바 '에큐메니칼' 진영의 초교파 연합기관인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발행되었고, 당시 진보적 신학의 흐름을 대변하고 있었다.

토착화 논쟁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한국의 종교와 문화적 전통을 재해석하여 기독교 전통과 한국 문화를 접목시키려는 신학적 논의들이 이 잡지에 실리면서 촉발되었다. 이런 논의들은 기존의 한국 신학계가 서구 신학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던 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토착화 신학이라고 불린다. 이 토착화 신학은 '비서구화'의 경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장로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 성향이 강했던 감리교 계통의 신학자들이 주도하였다.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윤성범(尹聖範), 유동식(柳東植), 변선환(邊鮮煥)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기독교 신학의 역사적 전통과 한국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의 결합"을 한국 신학의 과제로 설정하였다. 특히 한국의 전통 종교와 대화를 하면서 한국 종교 문화 속에서 기독교의 원형을 찾으려고 하였다. 윤성범은 고대 단군 신화와 유교 속에서, 유동식은 무교(巫敎)와 고대 풍류도(風流道) 속에서, 그리고 변선환은 선불교 속에서 기독교 신학의 내용인 창조론, 기독론, 속죄론, 구원론, 삼위일체 신론 등의 신학 구조를 찾아내려고 하였다.

신학의 '비서구화'에서 토착화 신학의 출발점을 찾았던 이들은 1960년대 이후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신앙과 직제 위원회'가 주도하는 종교간 대화의 신학,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로마 가톨릭 교회가 추구하는 타종교와 대화 신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은 이들이 동양인이면서도 서구 신학에서 출발하여 동양 종교와 문화로 접근해 들어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주어졌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의 토착화 신학은 동양의 전통 종교와 문화를 서구 기독교적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토착화 신학 논의에 대해 일군의 신학자들이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논쟁이 촉발되었다. 신학의 토착화와 한국 문화와의 만남을 주장한 신학자들이 감리교 계통의 신학자들이었던 반면에,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개진한 사람들은 주로 장로교 계통의 신학자들이었다. 특히 윤성범과 신학적 논쟁을 벌였던 박봉랑, 전경연, 이종성 등은 기독교장로회와 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소속이었으며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 흐름에 속한 신학자들이었다.

이들이 제기한 반대론은 의외로 단순한 것이었다. 즉 토착화 신학처럼 한국의 문화적 전통을 강조할 경우 기독교 신앙의 보편성이 침해당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대론자들은 한국이라는 특수성보다는 기독교라는 보편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그들은 토착화 신학자들과는 반대로 보편적 진리인 기독교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종교를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토착화 신학을 둘러싼 논쟁은 한국의 전통 종교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토착화 신학자들은 한국의 전통 종교와 문화에서 긍정적인 가치와 기능을 발견하려 노력하였던 반면, 반대론자들은 그러한 노력을 오히려 기독교 전통의 보편성 유지에 쏟아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3) 예배의식의 토착화
신학적인 입장에서 기독교와 한국 문화의 만남을 모색한 것이 1960년대 토착화 신학 논쟁이었다면, 1970년대 이후 기독교 예배 형식을 토착화하려는 또 다른 논쟁들이 일어났다. 이것은 주로 개신교 내에서 진보적인 흐름을 대변하는 기독교장로회 측에서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일환으로 민중문화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를 몇 가지만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970년대 민중교회운동을 해오던 허병섭 목사가 성북구 하월곡동에 있던 동월교회에서 문화운동가 임진택을 초청하여 판소리 선교찬송이나 성경에 나오는 내용을 각색한 『안묘수전』 『허제비전』 등과 같은 창작극을 공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974년 강원룡 목사가 시무하던 서울의 경동교회에서는 추수감사예배를 이례적으로 추석에 맞추어 민속놀이 형식을 차용하여 진행하였다. 매년 가을 11월 세번째 일요일에 지내던 한국 개신교의 전통적인 추수감사절을 추석으로 앞당겨 지낸 것이다. 이 날 밤 예배는 기존의 개신교 예배 형식이 아니라 가면극 형식을 빈 민속놀이로 진행되었다. 교회 안의 의자와 강단, 그리고 피아노 등의 집기를 다 치운 상태에서 돗자리와 멍석을 깔고 그 위에서 강강수월래를 부르며 예배를 시작하였다. 제1부 행사에서는 연합 성가대가 농부가, 보리타작, 풍년가 등을 부르는 민요잔치를 벌였다. 특히 제3부 대학생부 춤판에서는 서울의 양반놀이를 개조하여 당시 사회 현실을 풍자한 가면극을 선보였다. 이어 가면극이 끝나고 나서 강원룡 목사의 기도로 추석 예배를 마쳤다.

그런데 1970년대 후반부터 생기기 시작하여 1985년 '한국민중선교협의회'의 결성을 통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민중교회에서도 예배의 토착화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관심은 단순히 한국적인 문화 전통과 기독교를 접목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예배의 진행과정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Copyright © CANADAKOREA.CA. All rights reserved.

Contact E-mail : canadakorea@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