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 중국 미국 EU 일본순 > eco 경제

본문 바로가기

eco 경제

한국 수출 중국 미국 EU 일본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527회 작성일 22-08-06 20:01

본문

----------------------------
한국은 2021년 GDP 1.8조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10위, 아시아에서는 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했다. 한국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은 같은 해 전체 GDP의 36.5%를 차지했다.

--------------------------------------
주요상대국 수비율 https://index.go.kr/smart/mbl/chart_view.do?idx_cd=5010

-----------------------------------------
한국의 수출 품목 2019
품목명 금액
1위 반도체 93,930
2위 자동차 43,036
3위 석유제품 40,691

--------------------------------------
대중국 수출품목
품목별 수출입 동향 중국 10대 수출품은 통신전자부품, 자동자료처리기계, 전자집적회로, 램프 및 조명기구, LCD 및 광학기기, 부품류, 다이오드반도체, 가구 및 부품, 자동차부품, 케이스 등이다.
--------------------------------------
대중국 수입품목
중국의 10대 수입품은 전자집적회로, 석유와 역청유(원유 포함), 철광석, 유선전신기기, LCD 및 광학기기, 자동차, 대두,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자동자료처리기계, 항공기 등으로 수출상품 구조와의 유사성이 강한 편이다.
-------------------------------------
대미국 수출 품목
순위 품목 2017년 비중
1 전기전자기기 15.0
2 기계류 14.6
3 자동차 및 부품 12.4
4 유류 및 석유 화학 8.3
---------------------------------------------
대미국 수입품목

2020년 대미 수입은 전년대비 감소한 5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원유, 반도체, 항공기 및 부품이 있으며 전년대비 자동차 121.9%, 석유제품 67.7%, 일반기계 28.3% 품목이 수입증가를 기록했다.Sept 14, 2021
-------------------------------------------
대 EU 수출입

우리나라와의 교역현황
(기준 : 2022년 6월)
순위 및 비중 수출(10.6%), 수입(10.1%), 수지(흑자)
주요품목 수출(자동차, 정밀화학원료), 수입(자동차,반도체제조용장비)
FTA체결여부 발효(2011년 07월)

---------------------------------------

------------------------------------
한국의 대 일본 주요 수출품
2015년 대일 수입은 2014년 대비 14.7% 감소한 459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5년 한국의 대일 주요수입의 주요품목을 살펴보면 전자부품, 철강제품, 석유화학제품, 정밀화학제품 등 주로 산업용 품목들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
대일본 수입 순위 품목 성장기여율(%)
1 자동차 1.8
2 반도체 등 전자부품 4.9
3 자동차 부품 5.3
4 철강 4.1
---------------------------------------

대 러시아 교역
비중 순위는 지난 2000년 21위에서 2021년 10위로 크게 상승했다. 수출 품목은 자동차·부품(40.6%), 철구조물(4.9%), 합성수지(4.8%) 등이 약 절반을 차지한다.Feb 21, 2022
--------------------------------------------------
한국무역협회 수출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러시아 주요 수입에서 나프타(대러시아 전체 수입 비중 25.3%), 원유(24.6%), 유연탄(12.7%), 천연가스(9.9%) 등 에너지 수입이 전체 러시아 수입의 72.5%를 차지하고 있다.Mar 2, 2022
-----------------------------------------------
한국의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2020년 1월)

1. 對GCC 6개국 수출입 동향

□ 1월 對GCC 6개국 수출은 7.4억 달러(전년대비+18.4%), 수입은 50.8억 달러(+3.2%), 무역수지는 43.5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 동기 대비 UAE, 사우디 수출액 증가
○ 對UAE 전기기기(+56.1%)·보일러 기계류(+185.6%)·철강제품(+164.8%)·플라스틱제품(+34.4%)·고무제품(44.6%) 증가, 석유제품(-77.4%)·담배(-98.8%) 감소
○ 對사우디 보일러 기계류(+40.1%)·일반차량(+29.5%)·철강(67.9%)·철강제품(50.8%) 증가, 고무제품(-54.1%) 감소

□ (수입) 전년대비 석유 및 석유제품 수입액 2.2억 달러(+4.8%) 증가
○ 對사우디(+20.7%)·UAE(+40.4%)·오만(+25.2%) 증가, 카타르(-15.3%)·쿠웨이트(-25.6%) 감소

□ (무역수지) 전년 동기대비 석유 수입액 증가로 적자폭 소폭 증가

2.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입 동향

□ 1월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은 2.9억 달러(전년대비 +13.9%), 수입은 8.0억 달러(-8.8%), 무역수지는 5.2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대비 요르단 제외 對레반트(+이라크) 4개국 수출 감소
○ 對이스라엘 일반차량(-32.3%)·보일러 기계류(-38.0%) 감소, 광학기기(+131.3%)·조제식료품(+24.9%) 증가
○ 對이라크 보일러 기계류(-66.8%)·철강제품(-71.4%) 감소, 일반차량(+31.0%), 전기기기(+24.7%) 증가

□ (수입) 전년대비 ‘20년 1월 이라크산 원유 수입액 8.5% 감소
○ 對이라크 수입의 99.99%가 원유이며, 전월대비 수입액 0.7억 달러 감소
* 對이라크 원유 수입액(억 달러) : (’19.10) 4.0 → (11) 8.3 → (12) 7.7 → (’20.1) 7.0

□ (무역수지) 전년대비 對이라크 원유 수입액 감소로 적자폭 감소

3. 對이란 수출입 동향

□ 1월 對이란 수출은 1,485.9만 달러(전년비 +0.4%), 수입은 75.1만 달러(-99.3%), 무역수지는 1,410.8만 달러 흑자

□ 미국의 對이란 무역제재 지속으로, 전년대비 對이란 무역규모 급감
○ 미국의 이라크 내 공습(1.3)으로 이란 혁명수비대 총사령관이 사망하는 등 미-이란 갈등이 급격히 고조瑛립, 지난 1월 8일 트럼프 美 대통령은 더 이상의 對이란 군사적 대응 대신 이란에 추가 경제제재 강화 발표



4. 對터키 수출입 동향

□ 1월 對터키 수출은 4.6억 달러(전년대비 +2.3%), 수입은 1.1억 달러(+4.4%), 무역수지는 3.5억 달러 흑자

□ (수출) 전년 동기대비 철강, 보일러 기계류, 일반차량, 전기기기 등 주요 품목군 수출액 증가
○ (증가) 보일러 기계류(+30.6%), 전기기기(+69.4%), 일반차량(+22.3%)
○ (감소) 유기화합물(-47.1%), 플라스틱제품(-3.1%)

□ (수입) ‘20년 1월 수입액 전년 동기대비 4.4% 증가
○ (증가) 의료용품(+172.2%), 광·슬랙·회(+117.5%)
○ (감소) 보일러 기계류(-53.8%), 일반차량(-77.4%)

□ (무역수지) 1월 3.5억 달러 흑자, 전년 대비 무역수지 흑자 규모 소폭 증가. “끝”
-------------------------------------------------------
대 인도 수출입


우리나라의 다섯 번째 수출 흑자 대상국인 인도는 올해 1월 7억1천만 달러, 2월 8억2천만 달러, 3월 7억1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며 1분기 총 22억4천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올해 1분기, 대인도 수출입 모두 증가해 22억 달러 '흑자'

올해 1분기 대인도 수출은 6.1%였던 지난해 4분기에 비해 증가폭이 둔화했으나, 2분기 연속 수출 증가세를 나타냈다.

1월에 3.4%를 기록했던 수출증가율은 2월 -7.3%로 감소세 전환했지만 3월 9.2%를 기록하며 플러스 반등을 보였다.

대인도 수출에 대해 KITA 뉴델리지부 관계자는 '해외 주요 기관이 인도의 경제 회복을 예상하나, 일일 신규확진자가 30만 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어 수출 증가세 지속은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품목별로 보면, 철강판 수출은 지난해 4분기(7.2%) 플러스 전환한 이후 증가율이 더욱 커지며 2분기 연속 호조세를 나타냈다. 합성수지는 올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월 39.2%였던 합성수지 수출증가율은 3월 74.2%까지 확대됐다. 반도체는 감소세가 지속하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1분기 24.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동차 부품의 경우 작년 11월(8.1%), 12월(6.7%)의 증가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올해 1분기 -22.8%로 큰 폭 감소했다.

1분기 대인도 수입은 1월과 2월 각각 1.2%, 9.6% 감소했으나 3분기에 36.3%로 급등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최대 수입 품목은 알루미늄(58.1%)으로, 석유제품을 제친 것으로 조사됐다. 석유제품은 나프타(-40.9%) 수입이 급감하며 지난해 2분기부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10대 수입제품 중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낸 품목은 철광(129.6%)이었다.

KITA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원부자재 중심의 대인도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나프타 수입이 회복되면 그 증가폭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했다.
산업일보 영상뉴스 모아보기
산업일보 페이스북 바로가기
도수화 기자 95dosuhwa@kidd.co.kr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2021년 베트남 및 한-베트남 수출입 동향


o '21년 3분기 베트남의 강력한 사회봉쇄 조치에도 불구하고 4분기 경제활동이 재개되고

베트남 제조업 경기가 회복하면서 수출이 크게 증가

o '21년 베트남 총수출입액은 전년대비 22.6% 증가한 6,685억 5천만 달러를 기록

- 수출액은 전년대비 19% 증가한 3,363억 1천만 달러를 기록

- 수입액은 전년대비 26.5% 증가한 3,322억 3천만 달러를 기록


- '21년 베트남은 40억 8천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

o FDI 기업들의 '21년 총수출입액은 전년대비 24.6% 증가한 4,634억 3천만 달러를 기록

- FDI 기업들의 수출액은 전년대비 20.9% 증가한 2,452억 2천만 달러를 기록
- 수입액은 전년대비 29.1% 증가한 2,182억 1천만 달러를 기록

- 무역흑자 270.1억 달러를 기록하며 베트남 무역흑자 달성에 기여

2. 품목별 수출입 동향

□ 수출

o '21년 베트남 수출액은 전년대비 19% 증가한 3,363억 1천만 달러를 기록

o 수출 1위 품목인 휴대전화 및 부품의 수출액은 전년대비 12.4% 증가한 575억 4천만 달러를 기록

o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들의 수출실적이 전년대비 큰 폭 증가하면서 베트남 수출 상승을 견인

- 신발 수출액이 전년대비 124.3% 증가한 118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 자릿수 수출증가율을 기록


- 이어, 기계·장비 및 부품(383.4억 달러, 41%↑), 목재 및 목제품(148.1억 달러, 19.7%↑),

컴퓨터·전자기기 및 부품(508.3억 달러, 14.0%↑), 휴대전화 및 부품(575.4억 달러, 12.4%↑)순으로

큰 수출증가율을 기록

□ 수입
o '21년 베트남 수입액은 전년대비 26.5% 증가한 3,322억 3천만 달러를 기록
- 글로벌 소비수요 회복으로 베트남 수출증가에 따른 해당 수출품목들의 부품 및 원자재

수입이 증가

o 수입액 100억 달러 이상의 품목은 6개 품목으로 해당품목들은 두 자릿수 수입증가율을 기록

o 이중 가장 큰 수입액을 기록한 품목은 전자기기·컴퓨터 및 부품으로 전년대비 17.9% 증가한

754억 4천만 달러를 기록

- 이어 기계장비 및 부품(463억 달러, 24.3%↑), 섬유·신발(263.7억 달러, 22.4%↑),
휴대전화 및 부품(214.4억 달러, 28.8%↑) 순으로 큰 수입액을 기록

3. 국가별 수출입 동향


o '21년 베트남은 모든 대륙에 대해 수출, 수입 모두 전년대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

- 전세계적인 백신접종률 증가, 경제활동 재개 및 경기부양책 등으로 인한 글로벌 소비수요

회복이 주요 요인



o 베트남과의 교역액이 가장 많은 아시아 대륙에 대한 수출비중이 최근 감소 추세인 반면,

수입비중은 증가 추세


※ 對아시아 수출비중 추이: '19(51.3%)-'20(49.6%)-'21(48.2%)

對아시아 수입비중 추이: '19(80.2%)-'20(81.0%)-'21(81.7%)


o 반면, 베트남 전체 수출액대비 對미주 수출비중이 최근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입액대비 對미주 수입비중은 감소추세를 보임

※ 對미주 수출비중 추이: '19(28.0%)-'20(31.9%)-'21(34%)

對미주 수입비중 추이: '19(8.9%)-'20(8.3%)-'21(7.5%)


o 베트남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미국, 최대 수입대상국은 중국

- 對美수출액이 전년대비 24.9% 증가한 962억 9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베트남 전체 수출액의 28.6% 비중을 차지


- 對中수입액은 전년대비 30.5% 증가한 1,098억 7천만 달러로 베트남 전체 수입액의 33.1%

비중을 차지


o '21년 베트남의 對10대 수출국 수출액이 전년대비 모두 증가

o '21년 베트남의 對10대 수입국 수입액 역시 전년대비 모두 증가

Ⅱ. 한-베트남 수출입 동향


o '21년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대상국, 6위 수입대상국

- 한국의 5대 수출대상국: 중국, 미국, 베트남, 홍콩, 일본

- 한국의 6대 수입대상국: 중국, 미국, 일본, 호주, 사우디, 베트남

o '21년 對베트남 수출액은 전년대비 16.9% 증가한 567억 3천만 달러를 기록

o '21년 對베트남 수입액은 전년대비 16.5% 증가한 239억 7천만 달러를 기록

o '21년 對베트남 무역수지는 327억 6천만 달러로 홍콩(352.2억)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무역흑자를

기록

2. 품목별 수출 동향

o '21년 對베트남 상위 10대 수출품목 중 무선통신기기, 석유제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수출액이 증가


- 對베트남 수출액이 1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한 품목은 2개 품목(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으로 對베트남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3.4%를 기록



3. 품목별 수입 동향


o '21년 對베트남 상위 10대 수출품목 중 신변잡화,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제외한

모든 품목의 수입액이 증가


- 對베트남 수입액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한 품목은 3개 품목(무선통신기기, 의류, 컴퓨터)으로

對베트남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4.4%를 기록


- '20~'21년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 비대면 서비스 등의 수요 증가로 컴퓨터 품목의 수입이

최근 가파르게 상승



※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호주수출수입





2019/2020년 한국은 전체 호주 교역의 4.5%를 차지하며 對호주 4위 교역국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탈중국을 선언한 호주가 교역 다변화를 꾀하면서 영국, 인도, 대만, 베트남과 교역을 확대해 호주와의 교역상 우리의 경쟁 국가들은 더 늘어난 셈이 되었다.Mar 29, 2021

철광석이 호주의 1위 수출품목이네요. 이어서 석탄이 2위를 차지했습니다. 3위는 교육산업, 4위는 금, 5위는 천연가스가 차지했습니다. 1위부터 10위까지 호주의 주요 수출품목은 광물 자원과 농산품이 다수를 차지했는데요, 교육산업과 관광 산업이 중간에 포함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Apr 1, 2018

‘한국, 호주의 4대 무역 파트너’.. 호주의 주요 수출품과 수입품은?

한국은 호주의 4대 무역 파트너다. 2016년 한국과 호주의 상호 교역 규모는 약 322억 달러로 호주 전체 무역 규모의 4.8%를 기록했다.
호주는 세계 1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합니다.

2016/17 회계 연도 기준으로 호주의 5대 무역 파트너는 중국, 미국, 일본, 한국, 영국都求. 다음으로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인도, 독일 순이죠.

먼저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는 중국입니다. 수출과 수입 등 호주와 중국 양국 간의 상호 교역 규모는 전체 교역의 ¼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중국과 호주의 상품과 서비스 교역 규모는 지난 2016년 약 1,55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전체 교역의 23.1%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네요.

다음으로는 미국이 약 643억 달러로 9.6%, 다음으로 일본이 약 611억 달러로 9.1%, 네 번째인 한국은 약 322억 달러로 전체 교역 규모의 4.8%를 기록했습니다.

수출과 수입을 모두 합한 상호 교역 규모가 이렇고요. 수출과 수입을 나눠보면 순위는 조금 달라집니다.

수출만 놓고 볼 때, 호주의 최대 수출국은 중국이었고, 일본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이 3위, 한국은 4위입니다.

하지만 수입 규모로 놓고 보면 한국은 호주의 8번째로 큰 수입 대상 국가입니다.

중국에서의 수입 물량이 역시 가장 많고, 미국이 2위, 일본 3위, 태국 4위, 독일 5위, 영국 6위, 싱가포르 7위, 이어서 한국이 8위입니다.



호주의 최대 수출품은?
상품과 서비스 전체를 놓고 볼 때 호주의 최대 수출품은 무엇일까요?

철광석이 호주의 1위 수출품목이네요. 이어서 석탄이 2위를 차지했습니다. 3위는 교육산업, 4위는 금, 5위는 천연가스가 차지했습니다.

1위부터 10위까지 호주의 주요 수출품목은 광물 자원과 농산품이 다수를 차지했는데요, 교육산업과 관광 산업이 중간에 포함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Australia's top five exports.
Australia's top five exports. Source: SBS News


호주의 최대 수입품은?
그렇다면 호주의 주요 수입 품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위는 여행입니다. 관광을 즐기는 호주인들이 해외여행을 가서 쓰는 돈이 그만큼 많다는 얘긴데요. 호주의 수입 품목 1위는 관광 산업이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 많은 수입 품목은 자동차입니다. 관광을 빼고 물품만 놓고 본다면 자동차 수입이 호주의 최대 수입 품목이네요. 다음으로는 정유가 차지했고요. 다음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장비와 물품, 즉 휴대전화와 컴퓨터 같은 통신 물품 등이 4위를 차지했습니다. 5위는 국제 운송입니다.

Australia's top five imports.
Australia's top five imports. Source: SBS News


호주의 자유 무역 협정 체결 현황
호주는 현재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한 결과 현재 한국을 포함해서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태국, 칠레, 말레이시아, 일본, 중국, 아세안 국가(ASEAN)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습니다. 그리고 페루와의 자유무역협정을 위해 현재 의회 비준을 기다리고 있네요.

Australia's free trade partners.
Australia's free trade partners. Source: SBS News


호주는 지난 3월 초 일본, 캐나다, 멕시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칠레, 페루, 뉴질랜드, 브루나이 등과 함께 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TPP에 서명을 했는데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거대 경제 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미국의 불참 선언과 함께 지난해 베트남에서 진행된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 회의에서 캐나다가 반대를 표명하며 교착 상태에 빠진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과 호주의 노력으로 지난 1월 협정이 부활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밖에 호주는 14개 태평양 섬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체 협정에 서명을 하고 비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을 포함한 몇몇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을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A container ship docked at the Port of Brisbane.
A container ship docked at the Port of Brisbane. Source: AAP


자유무역협정은 호주에 유익한가?
자유무역협정은 국가 간의 관세 혹은 쿼터와 같은 무역 장벽을 낮추기 위해 고안이 됐는데요. 이론상으로는 상품과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소비자들을 돕게 됩니다. 하지만 수입 경쟁이 심한 분야와 같이 몇몇 분야에서는 오히려 타격을 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미국 산업 벨트에서 발생한 실업 사태와 같은 ‘자유무역의 경제적 영향’은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 무역 주의 정책을 강조하며 선거 승리를 이끄는데 일조하기도 했죠.

자유 무역 협정을 통해 싸고 질 좋은 해외 제품들이 호주에 유입되지만, 역으로 관련 산업 분야가 엄청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호주의 자동차 산업의 몰락이 그 예가 될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주의 최대 수입 품목 중 하나는 자동차인데요.

2015년 일본과의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된 후 일본 제품의 관세가 인하되면서 호주 소비자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일본 자동차를 구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더 싼 수입차가 늘어나면서 다른 나라처럼 저렴한 차를 만들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호주의 자동차 제조업이 위기를 겪게 되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호주 정계에서는 보수적인 정치인들이 자유무역협정의 혜택을 강조하는 반면에 진보주의 진영에서는 자유무역협정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데요.

시드니대학교 미국학 센터의 국제 무역 전문가 스티븐 키르츠너 박사는 SBS 뉴스에서 "점차 증가하는 미국의 보호 무역 주의 여파로 유럽 연합 국가들과 중국이 보복 조치를 촉구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오디오 뉴스를 통해 접하시기 바랍니다]

수출액 상위인 대호주 주요 수출품목
한국은 호주의 자동차·기계·석유화학 제품 공급국으로 교역 지속 ... 관세철폐 확대로 양국 시장의 진출 기회가 넓어지면서 대호주 상위 수출 품목은.
-----------------------------------------------------------

수출통관자료

수출품목 중 상위 10개 품목 통계


[단위 : 백만불]
10대 수출품목 통계표 입니다. 단위는 백만불 입니다.
2019 2020 2021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아래위p_open 2019 2020 2021
1위 반도체 93,930 반도체 99,177 반도체 127,980
2위 자동차 43,036 자동차 37,399 자동차 46,465
3위 석유제품 40,691 석유제품 24,168 석유제품 38,121
4위 자동차부품 22,535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19,749 합성수지 29,144
5위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20,657 합성수지 19,202 자동차부품 22,776
6위 합성수지 20,251 자동차부품 18,640 철강판 22,494
7위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20,15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8,151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21,573
8위 철강판 18,606 철강판 15,997 컴퓨터 16,816
9위 무선통신기기 14,082 컴퓨터 13,426 무선통신기기 16,194
10위 플라스틱 제품 10,292 무선통신기기 13,184 정밀화학원료 10,826
10대품목
수출액 - 304,238 - 279,093 - 352,389
총수출액
대비비중(%) - 56.1 - 54.5 - 55.0
--------------------------------------------------------
- 10대 수입품목통계표 접기/펼치기 버튼

검색
시계열조회 heatMap 엑셀 증감비교 초기화
[단위 : 백만불]
10대 수입품목 통계표 입니다. 단위는 백만불 입니다.
2019 2020 2021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아래위p_open 아래위p_open 아래위p_open 아래위p_open 아래위p_open 아래위p_open
1위 원유 70,252 반도체 50,283 원유 67,013
2위 반도체 47,032 원유 44,456 반도체 61,391
3위 천연가스 20,567 반도체제조용장비 17,039 반도체제조용장비 25,737
4위 석유제품 17,539 천연가스 15,716 천연가스 25,453
5위 석탄 14,209 컴퓨터 13,210 석유제품 24,085
6위 무선통신기기 13,626 자동차 13,074 컴퓨터 16,551
7위 자동차 11,986 무선통신기기 12,954 정밀화학원료 15,588
8위 컴퓨터 11,345 석유제품 12,952 석탄 14,699
9위 정밀화학원료 11,334 정밀화학원료 10,642 무선통신기기 14,575
10위 의류 10,891 의류 9,599 자동차 14,250
10대품목
수입액 - 228,779 - 267,707 - 279,342
총수입액
대비비중(%) - 45.5 - 42.8 - 45.0


출처 :

수입통관자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Copyright © CANADAKOREA.CA. All rights reserved.

Contact E-mail : canadakorea@hotmail.com